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대구아트웨이'의 창창레지던시 입주작가로 대구에서 생활하며 작품활동을 하고있습니다.
저는 홍익대학교에서 동양화 학사와 석사과정을 전공하고, 동양화의 전반에 대해서 공부를 해왔기 때문에, 작품의 기반은 동양화로써, 여기에 현대적 해석을 담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어요.
말씀대로 작가님 작품을 보면, 현대적 색감과 재질을 담아내면서도 동양적 느낌이 있어요. 작업 방식을 소개해 주실수 있나요?
저가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은 먼저 컴퓨터그래픽 프로그램인 일러스트레이터를 사용해서 화면의 전체를 디자인 하고, 그것을 캔버스에 옮긴 이후에 아크릴 물감을 사용해서 완성을 합니다. 동양화의 주재료인 종이와 먹이 아니라 서양의 도구와 재료를 사용하는 이유는, 반듯한 직선과 선명한 색을 표현 하고싶어서 입니다. 종이가 아닌 짱짱한 린넨으로 만들어진 캔버스는 마찰이나 변성같은 외부 요인에 대해 저의 작품 세계를 더 강하게 고정 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죠.
가로로 길게 이어지는 병풍 형식의 대형작품을 제작 하고싶은 욕심이 있어서 전체적인 화면을 한눈에 보기쉽게 구현하고자 컴퓨터 디자인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건륭남순도'같은 10미터 정도 이어지는 작품을 완성 해 보여드렸으면 합니다.

작가님이 그동안 발표하신 작품들을 보았는데요,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인 '기명절지화는 '기명절지도' 에서 유래한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설명 부탁드려요.
제 작품의 기반은 동양화의 한 종류인 기명절지도 양식을 가져와서 표현을 하고있습니다. 원래 기명절지도는 꽃, 화과, 채소 등을 각종 기이한 옛그릇이나, 다양한 형태의 물건에 자유롭게 배치한 서화인데, 제 작품속의 기명절지화는 한 개의 꽃 가지를 그려넣음 으로 거대한 자연의 세계를 함축적으로 표현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꽃나무 가지가 놓인 화면 하나만으로 한 계절, 더 넓게는 한 삼라만상의 세계를 표현 할 수 있다는 것이 동양화의 매력인데, 이것을 적극적으로 표현해 보고자 저의 작품으로 가지고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작가님 작품 속에 산과 나무, 그리고 귀여운 펭귄이 나오는 시리즈도 상당히 특색있어요. 색감과 조형을 단순화하면서도 반복되는 느낌이 보이고요.
제가 작가 생활을 하던 초기에는 제가 만든 가상의 세계가 내면에 만들어진 섬의 형태 로 나타났습니다. 그것이 발전해서 때로는 작은 정원, 더 작은 화분이 되기도하고, 다시 확장해서 핑크빛의 연무를 내뿜는 미스테리 한 숲의 형상으로 표현되곤 합니다. 그리고 지금은 초록빛으로 가득한 산과 호수를 건너 초록의 풀숲으로 변했습니다. 그 속에서 저는 그 풍경 속을 거니는 펭귄의 모습을 그리고있습니다.
제 작품의 내용은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의 너머에 있는 가상의 공간 안에 우리가 꿈꿔오는 무릉도원(유토피아)가 있을 것이라는 상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가상의 세계는 우리의 현실세계에서 관찰하고, 경험한 것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와 함께 하는 현실의 삼라만상이 뒤섞인 모양으로 구축합니다. 또한 작품의 속에 저와 주변의 사람들이 종종 등장을 하는데요, 이것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무릉도원을 발견하는 도연명과 같이 저의 모습을 펭귄에 빗대어 그 기이한 세계를 탐험하고 유랑하는 모습을 표현합니다.

이번 전시의 주제를 영원한 항해로 정하셨는데, 어떤 의미일까요?
제 작업을 이어가는 가장 큰 주제는 의식과 무의식 경계의 너머에 있는 가상의 공간 속을 끊임없이 여행을 하는 것이며, 이것은 영원한 항해(Endless Voyage)가 될 것 입니다. 그 여행의 풍경은 때로는 섬이되고, 정원이되며, 무한한 상자같은 텅빈 우주공간이 되기도 합니다.
아마 제가 작품활동을 하는 내내, 이 끝없는 항해를 지속할 것 같아요.
이번 슈갤러리에서 선보이는 작품들은 기존의 초기작품부터 최근작들인 정원, 식물원을 지나는 과정을 표현한 작품들이 있습니다. 전시회에 오셔서 제 작품세계를 관찰하면서 여러분의 내면에 만들어지는 가상의 세계속으로 여행을 떠나보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지원작가 이력
개인전
2024 The eternal journey, 종로 타워 퍼블릭 갤러리, 서울
2022 젊은 좌표의 꿈, 달서아트센터, 대구
2022 확장하는 자연, 골프존 조이마루, 대전
2021 전조, 달천 예술창작공간, 대구
기타 다수 개인전 및 그룹전
선정
2022 대구 아트웨이 창창레지던시
2022 달서 아트센터 신진작가 선정
2022 골프존 문화재단 후원 작가 선정